어떻게 준비하고 합격했을까요? 생생한 합격후기

영국 미술대학 전공 가이드: 나에게 맞는 전공은 무엇일까? - [ Fashion and Textiles (패션 & 텍스타일) ]편

작성일 : 조회수 : 2451

 

안녕하세요 런던예술대학교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공식 인증 파운데이션 교육 기관 하나스쿨오브아트입니다:)

 

지난 [  3-Dimensional Design and Architecture  ] 전공 분석에 이어, 

오늘은 두 번째로 [  Fashion and Textiles ] 전공을 자세히 탐구해 보겠습니다.

 

CSM, UAL 스튜디오 전경 일부
CSM, UAL 아트샵 전경 일부
LCF, UAL 스튜디오 전경 일부
LCF, UAL 스튜디오 전경 일부
LCF, UAL 스튜디오 전경 일부

 

Fashion and Textiles 전공은 다른 미술 계열에 비해 비교적 접근성이 높아,

 미술을 전공하기로 선택한 학생들이 가장 먼저 고려하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입학 경쟁률도 상당합니다.

그러나 많은 학생이 ‘패션  디자인’만을 떠올릴 뿐, 

실제로는 다양한 세부 전공이 존재한다는 점은 잘 알려지지 않은 편입니다.

패션 & 텍스타일 전공에는 디자인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텍스타일, 스타일링, 사진, 헤어&메이크업, 특수 분장, 일러스트레이션 등

 진출할 수 있는 분야가 매우 다양합니다.

 

1. 패션 텍스타일 디자인: 

< 의상 기획과 제작 중심 >

여성복, 남성복, 니트, 프린트, 자수,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패턴 컷팅, 스포츠웨어, 컨투어, 테일러링, 주얼리, 신발 등 

다양한 세부 경로로 구성되며, 각 경로 간 협업이 과정 전반에 걸쳐 활발히 이루어집니다

전통적인 의상 및 원단  제작 기술을 넘어 창의적 비전 확장, 디지털 도구 활용, 실험적 소재 및 재생 가능한 패브릭 사용을 중점으로, 

창의·기술·지적·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균형 있게 갖추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와 실험 중심의 학습 환경에서 성장하며, 

뛰어난 시각적·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디자이너로 발전하게 됩니다.

 

2. 텍스타일 디자인:

<소재 개발 및 제작 중심>

패션 텍스타일이 아닌 인테리어 분야의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를 학습하게 됩니다.

전통적인 기법과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여 창의적이고 지속 가능한 디자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학생들은 색상, 소재, 공정, 기술을 활용하여 프린트, 니트, 스티치, 위브, 스마트 텍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를 탐구하며,

 책임감 있는 디자인과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사회적, 환경적 맥락을 고려한 작품을 창출합니다.

 

3. 패션 커뮤니케이션:

<패션 홍보 및 마케팅>

 Image & Promotion, Histories & Theories, Journalism의 세 갈래로 구성되며, 

각 경로 간 및 패션 디자인 전공 학생들과의 협업이 교육 전반에 걸쳐  강조됩니다.

특히  Image & Promotion 과정은 필름, 사진, 디지털 디자인, 이벤트 프로덕션, 퍼포먼스 등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매체 전반을 다루며, 실험과 혁신적 접근을 장려합니다.

과정 전반이 산업 실무 연계 중심으로 기획 되어있으며, 

졸업생들은 스타일링, 아트디렉션, 사진, 영상, 캐스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게 됩니다.

 

4. 패션스타일링:

<패션 스타일 연출>

실험적 실습, 패션 이미지 메이킹에 대한 비판적 토론, 

그리고 정교한 기술 및 리서치 역량을 지원하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공동 창작(Co-creation)을 통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스타일링을 실현하며, 

다양한 사회 정치적 맥락과 역사적 배경을 고려한 패션 이미지를 개발하도록 장려합니다 .

다양성, 정체성, 공동체, 지속 가능성과 같은 주제를 중심으로 비판적 사고 기반의 이미지 제작자로 성장하도록 학생들을 이끌며, 창의적 실천을 촉진 시킵니다.

 

5. 패션 사진:

<현대 패션 미디어 환경에 맞춘 전문 기술>

학생들에게 현대 패션 미디어 환경에 맞춘 전문 기술과 촬영 기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도록 합니다.

졸업 후 즉시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게 됩니다.

본 과정의 커리큘럼은 패션 디스코스 비판 이론, 내러티브 이미지 메이킹 (편집, 상업 분야 포함)을 심도 있게 다루게 됩니다.

디지털 신기술 숙련, 실험적 실천, 다양성·정체성·공동체·지속가능성 등 패션의 핵심 주제들을 탐구하며, 

졸업 시 탁월한 맥락 인식과 창의성을 지닌 이미지 메이커로 성장하게 됩니다.

 

6. 패션 주얼리

<아이디어 기반 주얼리 창작 및 자기표현>

주얼리를 매개로 아이디어를 표현하며 자신의 비전을 발전시키는 아이디어 중심의 디자인 전공입니다.

전통 기술부터 디지털 제작까지 폭넓은 제작 방식을 배우며, 디자인 사고력과 문화적 감수성, 전문적 소통 능력을 함께 기릅니다.

학생 각자의 경험과 정체성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디자인 언어를 개발하고, 창의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한 역량을 키웁니다.

 

7. 헤어 & 메이크업:

<런웨이 및 화보 연출>

패션 플랫폼 전반에서 활동 가능한 전문 아티스트 양성을 목표로,

 기술 교육, 산업 통찰력, 실험적 디자인 과정을 통합적으로 배우는 과정입니다.

본 과정에서는 비판적 이론, 기후·인종·사회 정의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적 맥락 속에서 컨셉을 확장하며, 

분석적, 반성적 사고 역량을 강화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됩니다.

패션 미디어 학과의 타 전공 및 디자인 전공과의 협업 프로젝트와 강한 산업 네트워킹을 통해, 졸업 이후 즉시 현장 진출이 가능한 실무 역량을 갖게 됩니다.

 

8. 특수 분장:

<무대, 영화, 예술 프로젝트 연출>

패션 헤어&메이크업에 대한 이론과 연구 뿐만 아니라 헤어, 메이크업, 특수분장 (프로스테틱) 실무 기술을 폭넓게 학습합니다.

공연, 영화, 음악, TV, 서커스 등 다양한 퍼포먼스 장르에서 전문 실습 기회를 제공하며, 

협업 프로젝트, 산업 연계 과제, 현장 실습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문화적·역사적 맥락를 반영한 비판적 접근과 윤리적 고려, 그리고 다양한 장르의 퍼포머를 위한 창의적 스타일링 역량을 지니게 됩니다.

 

9. 패션일러스트레이션:

<패션드로잉 및 비주얼 아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전통적 기법과 현대적 접근 방식을 결합하여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본 과정에서는 다학제적 접근 방식이 중요시되며, 드로잉, 그래픽 디자인 애니메이션, 사진, 디지털 이미지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패션 이미지를 창조하고, 브랜드화, 에디토리얼,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을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2021 학년도 하나스쿨오브아트 파운데이션 과정 졸업생 송*나 학생 작품 / CSM Womenswear 진학
2023 학년도 하나스쿨오브아트 파운데이션 과정 졸업생 김*원 학생 작품 / CSM Fashion Communication: Image and Promotion 진학
2023 학년도 하나스쿨오브아트 파운데이션 과정 졸업생 송*나 학생 작품 / CSM Textile Design 진학
2021 학년도 하나스쿨오브아트 파운데이션 과정 졸업생 손*빈 학생 작품 / LCF Fashion Design and Development 진학
2024 학년도 하나스쿨오브아트 파운데이션 과정 졸업생 박*서 학생 작품 / LCF Menswear 진학
2023 학년도 하나스쿨오브아트 파운데이션 과정 졸업생 문*유 학생 작품 / CSM Womenswear 진학

 

패션과 섬유 전공은 디자인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UAL 내에서는 CSM , LCF 두 단과 대학에 해당 학과들이 존재합니다.

(* 패션 비즈니스 전공을 제외한 학과 정보만 기재)

 

Design:

CSM BA (Hons) Fashion Design: Communication /CSM  BA (Hons) Fashion Design: Menswear / CSM BA (Hons) Fashion Design: Womenswear / CSM  BA (Hons) Fashion Design: Communication  / CSM BA (Hons) Fashion Design: Knit /  CSM BA (Hons) Fashion Design: Print / LCF BA (Hons) Bespoke Tailoring / LCF BA (Hons) Fashion Pattern Cutting / LCF BA (Hons) Fashion Contour /  LCF BA (Hons) Fashion Design and Development / LCF BA (Hons) Fashion Design Technology: Menswear / LCF BA (Hons) Fashion Design Technology: Womenswear / LCF BA (Hons) Fashion Sportswear / LCF BA (Hons) Fashion Textiles: Embroidery /  LCF BA (Hons) Fashion Textiles: Knit / LCF BA (Hons) Fashion Textiles: Print / LCF BA (Hons) Fashion Jewellery

 

Media / Communication:

CSM BA (Hons) Fashion Communication: Journalism / CSM BA (Hons) Fashion Communication: Image and Promotion / CSM BA (Hons) Fashion Communication: Histories and Theories  / CSM BA (Hons) Performance: Design and Practice  / LCF BA (Hons) Cordwainers Fashion Bags and Accessories / LCF BA (Hons) Costume for Performance / LCF BA (Hons) Creative Direction for Fashion / LCF BA (Hons) Critical Practice in Fashion Media /  LCF BA (Hons) Fashion Imaging and Illustration / LCF BA (Hons) Fashion Journalism and Content Creation / LCF BA (Hons) Fashion Marketing and Content Creation /  LCF BA (Hons) Fashion Public Relations and Communication /  LCF BA (Hons) Fashion Photography /  LCF BA (Hons) Fashion Styling and Production /   LCF BA (Hons) Hair and Make-up for Fashion /  LCF BA (Hons) Hair and Make-up and Prosthetics for Performance

 

각 전공의 특징과 교육 목표를 참고하여, 본인의 관심과 적성에 맞는 전공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Fashion and Textiles 전공은 

 하나스쿨오브아트 UAL Level 4: Foundation Diploma in Art & Design 과정을 통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하나스쿨오브아트의 파운데이션은 영국 현지 UAL의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Diagnostic Mode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수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집니다.

Term 1에는 

3-Dimensional Design and Architecture / Graphic Communication Design / Fashion and Textiles / Fine Art

총 네 가지 전공 수업을 수강 하며, 다양한 매체와 실험 중심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탐색합니다.

이후 Term 2 &3 에는 

Term 1의 전공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이 희망하는 단일 전공을 선택하여 심화 학습을 진행합니다. 

 

 

자세한 문의는 하기 연락처로 부탁 드립니다 :)

 

유선 예약 문의: 02-539-5557 

카카오톡: [하나스쿨오브아트] 검색

방문 상담: 사전 예약 필수

 

© 2025, Hana School of Arts. 모든 권리 보유. 

본 게시물의 모든 내용과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저작권자에게 있으며, 허가 없이 복제, 배포, 전송, 수정, 전시 및 상업적 사용을 금합니다.